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42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를 사용해서 WiFi 기능으로 웹으로 3색 RGB LED 제어해 보기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를 사용해서 WiFi 기능으로 웹으로 3색 RGB LED를 제어해 보는 프로젝트입니다먼저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의 초기 세팅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 Blink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아두이노 우노 플랫폼의 WiFi 와 BLE 기능을 지원하는 ESP32 기반 IoT 개발보드 입니다CH340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한개의 프로세서가 통신을 할때 다른 한개의 프로세서가 I/O 제어를 담당하는듀얼프로세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하여 ESP8266의 치명적인 단점을 개선하였습니다DOIT ESP 32 개발보드 와는 다르게 스케치 업로드시 BOOT 버튼을 별도로 눌러줄 필요가 없습니다하지만 DOIT ESP 32 개발보드에.. 2018. 10. 13.
ESP32 D1 R32 (BLE + WiFi) 보드로 0.96인치 I2C OLED SSD1306 를 사용해서 WIFI CLOCK 만들어 보기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로 0.96인치 I2C OLED SSD1306 를 사용해서 WIFI CLOCK 을 만들어 보는 프로젝트 입니다먼저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의 초기 세팅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 Blink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아두이노 우노 플랫폼의 WiFi 와 BLE 기능을 지원하는 ESP32 기반 IoT 개발보드 입니다CH340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한개의 프로세서가 통신을 할때 다른 한개의 프로세서가 I/O 제어를 담당하는듀얼프로세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하여 ESP8266의 치명적인 단점을 개선하였습니다DOIT ESP 32 개발보드 와는 다르게 스케치 업로드시 BOOT 버튼을 별도로 눌러줄 필요가 없습니다하지만 DOI.. 2018. 10. 13.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로 1채널 릴레이 모듈 5V를 사용해서 웹으로 LED 제어해 보기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로 1채널 릴레이 모듈 5V를 사용해서 웹으로 릴레이 모듈에 연결 된 LED를 제어해 보는 프로젝트 입니다먼저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의 초기 세팅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 Blink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아두이노 우노 플랫폼의 WiFi 와 BLE 기능을 지원하는 ESP32 기반 IoT 개발보드 입니다CH340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한개의 프로세서가 통신을 할때 다른 한개의 프로세서가 I/O 제어를 담당하는듀얼프로세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하여 ESP8266의 치명적인 단점을 개선하였습니다DOIT ESP 32 개발보드 와는 다르게 스케치 업로드시 BOOT 버튼을 별도로 눌러줄 필요가 없습니다하지만 DOIT .. 2018. 10. 13.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블루투스 앱을 사용해서 LED 제어해 보기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블루투스 앱을 사용해서 블루투스 시리얼 통신 방법으로 LED를 제어해 보는 프로젝트 입니다먼저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의 초기 세팅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 Blink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아두이노 우노 플랫폼의 WiFi 와 BLE 기능을 지원하는 ESP32 기반 IoT 개발보드 입니다CH340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한개의 프로세서가 통신을 할때 다른 한개의 프로세서가 I/O 제어를 담당하는듀얼프로세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하여 ESP8266의 치명적인 단점을 개선하였습니다DOIT ESP 32 개발보드 와는 다르게 스케치 업로드시 BOOT 버튼을 별도로 눌러줄 필요가 없습니다하지만 D.. 2018. 10. 13.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로 SG90 마이크로 서보모터를 사용해서 웹으로 서보모터 제어해 보기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로 SG90 마이크로 서보모터를 사용해서 웹으로 서보모터를 제어해 보는 프로젝트 입니다먼저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의 초기 세팅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 Blink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아두이노 우노 플랫폼의 WiFi 와 BLE 기능을 지원하는 ESP32 기반 IoT 개발보드 입니다CH340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한개의 프로세서가 통신을 할때 다른 한개의 프로세서가 I/O 제어를 담당하는듀얼프로세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하여 ESP8266의 치명적인 단점을 개선하였습니다DOIT ESP 32 개발보드 와는 다르게 스케치 업로드시 BOOT 버튼을 별도로 눌러줄 필요가 없습니다하지만 DOIT ESP 32 개발보드.. 2018. 10. 13.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로 DHT11 온습도 센서를 사용해서 웹으로 실내온도 확인해 보기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로 DHT11 온습도 센서를 사용해서 PC의 웹 또는 스마트폰 브라우저로 실내온도를 확인해 보는 프로젝트 입니다먼저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의 초기 세팅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 Blink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아두이노 우노 플랫폼의 WiFi 와 BLE 기능을 지원하는 ESP32 기반 IoT 개발보드 입니다CH340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한개의 프로세서가 통신을 할때 다른 한개의 프로세서가 I/O 제어를 담당하는듀얼프로세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하여 ESP8266의 치명적인 단점을 개선하였습니다DOIT ESP 32 개발보드 와는 다르게 스케치 업로드시 BOOT 버튼을 별도로 눌러줄 필요가 없습니다하지만 DO.. 2018. 10. 13.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로 0.96인치 I2C OLED SSD1306 출력해 보기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로 0.96인치 I2C OLED SSD1306 를 사용해서 OLED를 출력해 보는 프로젝트 입니다먼저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의 초기 세팅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 Blink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아두이노 우노 플랫폼의 WiFi 와 BLE 기능을 지원하는 ESP32 기반 IoT 개발보드 입니다CH340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한개의 프로세서가 통신을 할때 다른 한개의 프로세서가 I/O 제어를 담당하는듀얼프로세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하여 ESP8266의 치명적인 단점을 개선하였습니다DOIT ESP 32 개발보드 와는 다르게 스케치 업로드시 BOOT 버튼을 별도로 눌러줄 필요가 없습니다하지만 DOIT ESP 3.. 2018. 10. 13.
ESP32 우노 D1 R32 (BLE +WiFi) 보드 터치센서 테스트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보드를 사용해서 터치센서 테스트를 해보고 터치로 LED를 제어해 보는 프로젝트 입니다먼저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의 초기 세팅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 Blink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아두이노 우노 플랫폼의 WiFi 와 BLE 기능을 지원하는 ESP32 기반 IoT 개발보드 입니다CH340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한개의 프로세서가 통신을 할때 다른 한개의 프로세서가 I/O 제어를 담당하는듀얼프로세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하여 ESP8266의 치명적인 단점을 개선하였습니다DOIT ESP 32 개발보드 와는 다르게 스케치 업로드시 BOOT 버튼을 별도로 눌러줄 필요가 없습니다하지만 DOIT ESP 32 개발보드에 비해.. 2018. 10. 13.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를 사용해서 Bluetooth 기능으로 스마트폰과 데이터 주고 받기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를 사용해서 Bluetooth 기능으로 스마트폰과 마스터&슬레이브 역할을 하며 데이터를 주고 받는 프로젝트 입니다먼저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의 초기 세팅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 Blink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아두이노 우노 플랫폼의 WiFi 와 BLE 기능을 지원하는 ESP32 기반 IoT 개발보드 입니다CH340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한개의 프로세서가 통신을 할때 다른 한개의 프로세서가 I/O 제어를 담당하는듀얼프로세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하여 ESP8266의 치명적인 단점을 개선하였습니다DOIT ESP 32 개발보드 와는 다르게 스케치 업로드시 BOOT 버튼을 별도로 눌러줄 필요가 없습니다하지만 D.. 2018. 10. 13.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를 사용해서 WiFi 기능으로 웹으로 LED 제어해 보기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를 사용해서 WiFi 기능으로 PC의 웹 브라우저와 스마트폰 웹 브라우저로 LED를 제어해 보는 프로젝트 입니다먼저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의 초기 세팅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 Blink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아두이노 우노 플랫폼의 WiFi 와 BLE 기능을 지원하는 ESP32 기반 IoT 개발보드 입니다CH340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한개의 프로세서가 통신을 할때 다른 한개의 프로세서가 I/O 제어를 담당하는듀얼프로세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하여 ESP8266의 치명적인 단점을 개선하였습니다DOIT ESP 32 개발보드 와는 다르게 스케치 업로드시 BOOT 버튼을 별도로 눌러줄 필요가 없습니다하지만 DO.. 2018. 10. 13.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의 초기 세팅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기 ESP32 우노 D1 R32 (BLE + WiFi) 보드의 초기 세팅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간단하게 Blink 테스트를 해보는 프로젝트입니다아두이노 우노 플랫폼의 WiFi 와 BLE 기능을 지원하는 ESP32 기반 IoT 개발보드 입니다CH340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한개의 프로세서가 통신을 할때 다른 한개의 프로세서가 I/O 제어를 담당하는듀얼프로세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장착하여 ESP8266의 치명적인 단점을 개선하였습니다DOIT ESP 32 개발보드 와는 다르게 스케치 업로드시 BOOT 버튼을 별도로 눌러줄 필요가 없습니다하지만 DOIT ESP 32 개발보드에 비해 회로도나 핀맵등 정확한 사양자료가 없어서 아쉬운 부분이 많습니다 (ESP32 포럼이나 Wemos 홈페이지등에 추후에 업데이트 되는.. 2018. 10. 13.
Arduino Uno 로 토양 수분센서를 사용해서 I2C 1602 캐릭터 LCD에 토양 수분 출력값 출력해 보기 Arduino Uno 로 토양 수분센서를 사용해서 I2C 1602 캐릭터 LCD에 토양 수분 출력값을 출력해 보는 프로젝트 입니다 토양 수분센서는 아두이노 AVR, STM, ARM 등의 마이크로 컨트롤 보드와 간단하게 연결해서 DO 디지털 출력이나 AO 아날로그 출력 방식으로 테스트 가능합니다 (물론 산업용 센서가 아니고 테스트용 교육용 센서기 때문에 아주 정밀한 테스트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SCL, SDA 2개의 통신 선을 사용해서 통신하는 I2C 1602 캐릭터 LCD를 사용해서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값을 확인해 볼수 있습니다 사용된 부품 아두이노 우노 토양 수분 센서 모듈 I2C / IIC 1602 캐릭터 LCD 모듈 점퍼케이블 미니 브래드보드 막대저항 220Ohm 5mm LED 블루 사용.. 2018. 9. 8.
반응형